반응형
1️⃣ PS(Profit Sharing) 성과급이란?
- 기업이 연간 이익을 기반으로 성과를 평가하여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형태의 보너스입니다.
- 매년 일정 비율의 이익을 직원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, 일반적인 상여금(기본급 기준 지급)과 다를 수 있습니다.
2️⃣ PS 성과급 세금 부과 기준
PS 성과급도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으로 간주되며, 급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.
✅ 적용 세금 종류:
- 근로소득세 (누진세율 적용)
- 지방소득세 (근로소득세의 10%)
- 4대보험료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 등)
✅ 세율 적용 방식 (근로소득세)
- 성과급을 포함한 총 급여에 대해 누진세율이 적용되므로, 기존 월급보다 세금이 더 많이 공제될 수 있습니다.
-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(2024년 기준)
- 1,400만 원 이하 → 6%
- 1,400만 원 ~ 5,000만 원 → 15%
- 5,000만 원 ~ 8,800만 원 → 24%
- 8,800만 원 ~ 1억 5천만 원 → 35%
- 1억 5천만 원 ~ 3억 원 → 38%
- 3억 원 ~ 5억 원 → 40%
- 5억 원 초과 → 42%
✅ 예시 (성과급 지급 후 추가 세금 차감)
연봉(기본급) | 성과급(PS) | 합산 총급여 | 예상 소득세 (누진세율) |
4,000만 원 | 500만 원 | 4,500만 원 | 약 600~800만 원 |
7,000만 원 | 1,000만 원 | 8,000만 원 | 약 1,600~2,000만 원 |
1억 원 | 2,000만 원 | 1억 2,000만 원 | 약 3,500~4,500만 원 |
❗성과급이 많을수록 누진세율로 인해 세금 부담이 커집니다.
❗성과급이 한 번에 지급되면 해당 월 급여가 일시적으로 높아져 세금이 예상보다 많이 공제될 수도 있습니다.
3️⃣ 회사마다 PS 성과급 세금 차이가 나는 이유
- 성과급 지급 방식 차이
- 정기 상여금 vs. 일회성 성과급:
- 정기 상여금은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, 급여와 동일한 세금 적용
- **일회성 성과급 (PS)**은 연간 이익에 따라 결정되므로, 급여 총액이 커지면서 누진세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음
- 정기 상여금 vs. 일회성 성과급:
- 회사의 급여 지급 구조
- 기본급이 높은 회사: 성과급이 근로소득세율을 더 높이는 효과
- 기본급이 낮고 수당 비중이 높은 회사: 세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음
- 회사의 세금 처리 방법
- 일부 기업은 성과급을 분할 지급하여 소득세 부담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
- 일부는 연말정산 시 추가 세금 정산을 감안하여 원천징수율을 다르게 적용
- 세전/세후 지급 방식 차이
- 세전 기준 지급 → 직원이 직접 세금 부담
- 세후 기준 지급 → 회사가 원천징수 후 차감된 금액을 지급 (실수령액 기준)
4️⃣ 성과급 지급 후 예상 세금 줄이는 방법
✅ 연말정산을 통한 환급 고려
- 성과급 지급 시 원천징수된 세금이 많다면, 연말정산에서 공제 항목(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) 적용을 통해 환급 가능
✅ 성과급을 분할 지급 요청
- 한 번에 지급되면 누진세로 인해 세금 부담이 증가
- 분할 지급하면 매월 과세표준이 낮아져 절세 효과 가능
✅ IRP(개인형 퇴직연금) 추가 납입
- 연간 700만 원 한도로 **세액공제(최대 16.5%)**를 받을 수 있음
- 성과급을 포함한 총 급여가 증가하면 IRP를 활용한 공제도 고려
📌 결론
- PS 성과급도 일반 급여와 동일하게 근로소득세 적용 (누진세율)
- 성과급이 클수록 누진세 적용으로 실수령액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
- 회사의 지급 방식(세전 vs. 세후, 분할 vs. 일괄 지급)에 따라 세금 부담 차이 발생
- 연말정산, IRP 납입, 분할 지급 요청 등을 통해 절세 가능
반응형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속 부담 없는 야식 추천 (1) | 2025.02.19 |
---|---|
마이너스통장(마통) DSR에 영향 가나요? (0) | 2025.02.17 |
뷔페에서 많이 먹는 방법이 있나요? (1) | 2025.02.14 |
하루 굶은 공복에 첫끼 추천 (0) | 2025.02.14 |
야식으로 속 괜찮은 음식 추천 (0) | 2025.02.14 |